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66

한국어 배우기 전에 알아두기, 훈민정음 1. 소리 문자 요즘 한류와 같은 문화 컨텐츠의 활발한 활동으로 해외에 나가서도 외국인이 한국말을 유창하게 구사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에도 나와 있듯이 배우기 쉽고 널리 사용하기 좋게 만든 글자이기 때문이기도 하며, 일단 소리 문자이기 때문에 모르는 말을 들어도 들리는 그대로 표기할 수 있는 특성을 한국어가 갖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인도네이사 '찌아찌아' 부족이 한글을 표기 문자로 차용해 사용한다는 기사를 본 적 있습니다. 물론 2023년 9월 어느 한 유투버의 고발로 인해 현재 한국어 수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한국어 사용도 저조하다는 내용이 보도되었지만 한국어의 인기를 무시할 수는 없는 일이 되었습니다. 훈민정음 혜례본 '.. 2023. 12. 20.
한국어 문법 수식언, 관형사와 부사, 감탄사 수식언은 다른 말을 꾸며주는 기능을 하는 단어입니다. 수식언에는 '관형사'와 '부사'가 있습니다. 수식언은 용언처럼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불변어에 해당하며, 체언과 달리 조사와 결합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부사의 경우는 보조사와 결합하기도 합니다. 1. 관형사 관형사는 체언을 꾸며주는 기능을 합니다. 관형사는 '지시 관형사', '성상 관형사', '수 관형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 사람들'의 '그'는 어떤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 관형사'입니다. 지시 관형사에는 '이, 그, 저, 요, 이런, 그런, 저런 다른(他)' 등이 있습니다. '새 책'의 '새'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꾸며주는 '성상 관형사'이며, '세 사람'에서 '세'는 수량이나 순서라는 수 개념을 가지면서 체언을 수식하는 '수 관형.. 2023. 12. 19.
한국어 문법, 용언의 활용 용언의 활용 실질적 형태소인 어간과 형식 형태소인 어미들이 결합할 때, 어간에 여러 어미가 번갈아 결합하는 현상을 '활용'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활용의 각 형태들을 '활용형'이라고 합니다. 여러 가지 활용형 중에서 어간에 어미 '-다'가 결합한 것을 '기본형'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웃다, 묻다(埋), 가다'는 활용을 할 때,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가 유지됩니다. 이와 달리 '젓다'는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하면 '저어, 저어라, 저은'처럼 어간의 'ㅅ'이 탈락되고, '묻다(問)'는 '물어, 물은'에서처럼 어간의 'ㄷ'이 'ㄹ'로 변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과 어미의 형태가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기도 하지만, 환경에 따라서 형태가 변하기도 합니다. 형태 변화의 경.. 2023. 12. 18.
한국어 용언-동사와 형용사 1. 동사와 형용사 문장의 주어를 서술해 주는 기능을 가진 단어를 '용언'이라고 합니다. 용언은 실질 형태소인 어간과,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굴절접사인 어미로 구성됩니다. 어미는 '선어말 어미'와 '어말 어미'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체언이 조사와 결합하면서 일정한 문법적 기능을 하듯이, 용언은 어간에 여러 가지 어미가 번갈아 결합하는 현상, 즉 '활용'을 통해 문장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용언을 가변어라고 하며, '동사'와 '형용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동사는 주어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단어를 말합니다. '걷는다, 잡는다.'와 같은 단어는 주어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떠오른다.'는 주어의 작용을 나타냅니다. 동사는 서술어의 움직임이 미치는 대상을 기준으로 다시 '자동사'와 '타동사.. 2023. 12. 17.
한국어 문법 관계언-2, 접속 조사와 보조사 1. 접속 조사 접속 조사는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주는 구실을 하는 조사를 말합니다. 접속 조사로는 '와/과', '하고', '(이)며', '에(다)' 등이 있습니다. 앞 음절이 모음으로 끝나면, '와, 랑, 며'로 나타나고 앞 음절이 자음으로 끝나면, '과, 이랑, 이며'로 나타납니다. '와/과'는 문어체에서 잘 쓰이고, '랑', '하고'는 구어체에서 잘 쓰입니다. 여기에서 접속 조사 '랑, 하고'의 경우는 뒤의 체언에도 결합할 수 있으나, '와, 에다'는 뒤의 체언에는 결합되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여름이 되면 수학하고 참화하고(를) 먹을 수 있다.'는 가능하지만, '여름이 되면 수박이며 참회며(를) 먹을 수 있다.'와 '여름이 되면 수박에다 참외에다(를) 먹을 수 있다.'는 불가능합니다. 접.. 2023. 12. 17.
한국어 문법 관계언-1, 격조사 1. 조사의 특성 및 종류 문장 내에서 단어들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해주는 것을 '관계언'이라고 하고 '조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첨가어인 국어는 조사가 발달되어 있습니다. 조사는 주로 체언 뒤에 붙어서 다양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미를 추가하는 의존 형태소인데, 그 기능과 의미에 따라 '격조사', '점속 조사', '보조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2. 격조사 격조사는 앞에 오는 체언이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적 기능을 가지는 성분으로서의 자격을 가지도록 해주는 조사를 말합니다. 격조사는 문장 성분을 기준으로 할 때, 일곱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주격조사입니다. 주격조사는 앞의 체언이 문장 속에서 주어로서의 자격을 갖도록 해줍니다. 주격 조사에는 '이, 가, 께서, 에서' 등이 있습니다... 2023. 12.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