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74 예비 고1 생기부, 이것만 기억하자-4탄 포스팅 3탄까지 생기부가 무엇인지, '자율활동'을 채우기 위해서 할 수 있는 것들, 어떤 '동아리'를 선택하고 어떤 활동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궁금하신 분은 3탄 클릭클릭! 그리고 이번 포스팅 4탄에선~! '진로 활동'(정말중요!), '교과세특', '행동발달사항'에 대해 이야기 하겠습니다. 1. 진로 활동 청소년기에 학생들이 앞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를 정확히 정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해 열심히 무언가를 계획하고 시행하기란,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기 대문에 '진로 희망'란에 '진로 탐색 중'이라고 쓰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대학 종합 전형 평가 기준에는 '계열 적합성'이나 '전공 적합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 학생이. 본교의 학과에 진학하여 잘 적응하고 이해.. 2023. 12. 31. 예비 고1 생기부 관리, 이것만 기억하자 - 3탄 그럼 드디어, 3탄! 고등학교 생기부 관리에 대해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대입 전형 중 '종합' 전형과 관련된 생기부를 어떻게 쓸 지에 대한 내용으로 '대입 전형'이나 간략한 '공부 계획'과 관련된 내용은 이전 포스팅 1탄, 2탄을 보고 오시면 됩니다. 이제 언급할 내용은 학생인 '내'가 어떻게 활동하고 준비하여야 좋은 기록이 나올 수 있는 지에 대한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자율 활동'과 '동아리 활동'에 대해서 언급하고, 다음 포스팅에서 '진로 활동'(정말중요!), '교과세특', '행동발달사항'에 대해 이야기 하겠습니다. 1. 생활기록부란? 생활기록부는 학생의 학업 성적을 포함한 학교 생활의 전반적인 내용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을 평가하는 내용을 서술로 작성하는 것입니다. .. 2023. 12. 28. 예비 고1 공부법, 이것만 기억하자!-2탄 대학에 가고 싶니? 그럼 어떻게 갈 거니? 인문고? 특목고? 자사고? 아니면 취업을 위한 특성화고? 어디를 가야할 지 고민이 많았을 겁니다. 이러한 생각 들을 정리하고, 일반고에 진학하여 '대학'에 가고자 마음 먹었다면 오늘 글을 잘 읽어 보아야 합니다. 1. 대학 가는 법 대학은 모.두. 갈 수 있습니다. 어느 학교. 어느 과에 어떻게 진학하느냐, 그 학교가 정말 내가 원하는 학교인가가 중요합니다. 일단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대학 입학 전형'을 알아 두어야, 3년 동안의 계획과 방향이 잘 잡힐 거라 생각합니다. - 대학 입학 전형은 9월에 지원하게 되는 '수시'와 11월 수능을 보고 지원하게 되는 '정시'로 나눌 수 있습니다.(모두 알고 계시겠지만) 일반고에서는 주로 '수시'로 대입 지도를 하게 되고.. 2023. 12. 28. 예비 고1 대입 준비, 이것만 기억하자! - 1탄 1. 중학교 성적은 잊어라! 일반고 진학을 앞 두고 있거나, 예비 고1 자녀를 둔 학부모들이라면 대입 준비를 위한 고등학교 생활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고민이 많을 것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갭은 매우 큽니다. 중학교 성적은 그냥 잊고 새롭게 고등학교 학업 관리를 하는 것이 더 나을 지도 모릅니다. 상담을 하다 보면 학생으로부터 이런 이야기를 종종 듣습니다. "중학교 때는 선생님이 찝어 준 것만 보면 되었는데, 왜 고등학교에서는 안 찝어 주시나요?" "중학교 때는 하루 이틀 밤 새면 90점은 그냥 넘어서, 저는 제가 천재인 줄 알았어요."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 전혀 감이 오지 않아요." 처음에는 굉장이 당황스러웠지만, 매년 이런 이야기를 듣다보니 이제는 그러려니 할 정도입니다. 그.. 2023. 12. 26. 한국어 문법, 통사론과 문장 통사론은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구', '절', '문장'을 형성하는 원리를 연구하는 것입니다. 이 때, '단어', '구', '절', '문장' 등을 통사 단위라고 합니다. 최소 통사 단위는 단어이고, 최대 통사 단위는 문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구본관 외, 에서는 이러한 통사 단위들 중 '절'단위으 개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1. 절 (주어+서술어) 학교 문법을 비롯하여 많은 논저에서 '절'은 '문장'보다 작은 단위로서 반드시 문자엥 포함되어야 하는 것으로 기술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러한 기술은 온당하지 않다. 1) 가. 영희가 공부를 한다. 나. 내가 좋아하는 영희가 공부를 한다. 1나)는 관형사절 '내가 좋아하는'을 안은 문장으로서 '영희가 공부를 한다'가 모절이다. .. 2023. 12. 24. 교육 과정과 문법 교육 한동안 교육과정 내에서 '국어 지식'이라고 불리던 '문법'이 다시 '문법'이란 명칭으로 돌아 왔다가, 지금은 '언어와 매체' 교과내에 자리 잡고 있는 '언어'라고 불리기 시작하였습니다. 사실 교육 과정에 따라 이름만 바뀌었을 뿐, 배우는 내용은 거의 흡사하며, 수능 A형과 B형으로 구분되던 시절에 '옛 국어' 영역의 포함 여부만 달라졌을 뿐 이름이 바뀌는 것에 대한 의미는 크게 없다고 생각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임지룡 외, 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이라는 책에서는 '문법 교육의 성격과 목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1. 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 학교 문법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그것이 학교 교육의 한 내용 영역으로 포함되어 교수, 학습의 대상이 된다는 데 있다. 즉, 학문으로서의 문법이 객관.. 2023. 12. 22. 이전 1 ··· 6 7 8 9 10 11 12 1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