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문법, 용언의 활용
용언의 활용 실질적 형태소인 어간과 형식 형태소인 어미들이 결합할 때, 어간에 여러 어미가 번갈아 결합하는 현상을 '활용'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활용의 각 형태들을 '활용형'이라고 합니다. 여러 가지 활용형 중에서 어간에 어미 '-다'가 결합한 것을 '기본형'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웃다, 묻다(埋), 가다'는 활용을 할 때,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가 유지됩니다. 이와 달리 '젓다'는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하면 '저어, 저어라, 저은'처럼 어간의 'ㅅ'이 탈락되고, '묻다(問)'는 '물어, 물은'에서처럼 어간의 'ㄷ'이 'ㄹ'로 변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과 어미의 형태가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기도 하지만, 환경에 따라서 형태가 변하기도 합니다. 형태 변화의 경..
2023. 12. 18.
한국어 문법 관계언-2, 접속 조사와 보조사
1. 접속 조사 접속 조사는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주는 구실을 하는 조사를 말합니다. 접속 조사로는 '와/과', '하고', '(이)며', '에(다)' 등이 있습니다. 앞 음절이 모음으로 끝나면, '와, 랑, 며'로 나타나고 앞 음절이 자음으로 끝나면, '과, 이랑, 이며'로 나타납니다. '와/과'는 문어체에서 잘 쓰이고, '랑', '하고'는 구어체에서 잘 쓰입니다. 여기에서 접속 조사 '랑, 하고'의 경우는 뒤의 체언에도 결합할 수 있으나, '와, 에다'는 뒤의 체언에는 결합되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여름이 되면 수학하고 참화하고(를) 먹을 수 있다.'는 가능하지만, '여름이 되면 수박이며 참회며(를) 먹을 수 있다.'와 '여름이 되면 수박에다 참외에다(를) 먹을 수 있다.'는 불가능합니다. 접..
2023. 1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