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74

한국어 문법 관계언-2, 접속 조사와 보조사 1. 접속 조사 접속 조사는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주는 구실을 하는 조사를 말합니다. 접속 조사로는 '와/과', '하고', '(이)며', '에(다)' 등이 있습니다. 앞 음절이 모음으로 끝나면, '와, 랑, 며'로 나타나고 앞 음절이 자음으로 끝나면, '과, 이랑, 이며'로 나타납니다. '와/과'는 문어체에서 잘 쓰이고, '랑', '하고'는 구어체에서 잘 쓰입니다. 여기에서 접속 조사 '랑, 하고'의 경우는 뒤의 체언에도 결합할 수 있으나, '와, 에다'는 뒤의 체언에는 결합되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여름이 되면 수학하고 참화하고(를) 먹을 수 있다.'는 가능하지만, '여름이 되면 수박이며 참회며(를) 먹을 수 있다.'와 '여름이 되면 수박에다 참외에다(를) 먹을 수 있다.'는 불가능합니다. 접.. 2023. 12. 17.
한국어 문법 관계언-1, 격조사 1. 조사의 특성 및 종류 문장 내에서 단어들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해주는 것을 '관계언'이라고 하고 '조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첨가어인 국어는 조사가 발달되어 있습니다. 조사는 주로 체언 뒤에 붙어서 다양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미를 추가하는 의존 형태소인데, 그 기능과 의미에 따라 '격조사', '점속 조사', '보조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2. 격조사 격조사는 앞에 오는 체언이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적 기능을 가지는 성분으로서의 자격을 가지도록 해주는 조사를 말합니다. 격조사는 문장 성분을 기준으로 할 때, 일곱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주격조사입니다. 주격조사는 앞의 체언이 문장 속에서 주어로서의 자격을 갖도록 해줍니다. 주격 조사에는 '이, 가, 께서, 에서' 등이 있습니다... 2023. 12. 15.
한국어의 품사, 대명사와 수사 1. 대명사 대명사는 대상의 이름을 대신하여 그것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는 단어를 말합니다. 대명사도 체언의 한 유형이라는 점에서 명사가 문장 내에서 갖는 기능을 거의 동일하게 갖지만, 대명사의 고유한 특징이 있기도 합니다. 먼저, 명사는 관형사의 수식을 받는 반면, 대명사는 관형사의 수식을 받지 못합니다. 다만, 대명사도 관형어의 수식은 받을 수 있습니다. 둘째, 대명사는 선행 개념을 대신한다는 특징이 있는데, 이 때 선행 개념은 문맥이나 말하는 상황에 따라 결정됩니다. 앞 문장의 주어를 대신하여 대명사 '그'가 쓰일 수도 있고, '여기'와 같이 말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어떤 것을 대신하여 가리키고 있습니다. 대명사에는 '인칭 대명사'와 '지시 대명사'가 있습니다. 인칭 대명사는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입.. 2023. 12. 13.
한국어의 문법, 품사에 대해 1. 품사 '품사'는 단어들을 문법적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갈래지어 놓은 것을 말합니다. 품사는 몇 가지 기준에 따라 나눠볼 수 있습니다. 첫째, '기능'을 기준으로 단어들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문장 내에서 단어가 어떠한 문법적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고 같은 기능을 하는 것끼리 묶을 수 있습니다. '기능'은 품사 분류의 가장 중심이 되는 기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명사, 대명사, 수사'는 문장 내에서 주어로서의 기능을 합니다. 이를 '체언'이라고 합니다. 체언은 목적어나 보어가 될 수 있습니다. '동사'와 '형용사'는 문장 내에서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를 '용언'이라고 합니다. '조사'는 체언 뒤에 붙어서 체언이 문장 속에서 주어나 목적어, 보어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 주는.. 2023. 12. 12.
한국어 단어의 형성, 합성어와 파생어 1. 단어의 구성과 유형 일반적으로 단어는 형태소가 결합된 단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먼저, 단어는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 부분인 '어근'과 그에 붙어 그 뜻을 한정하는 주변 부분인 '접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뜻을 한정한다'라는 의미는 간단히 뜻을 더해 준다로 해석하면 됩니다. 1) 치-, 뜨-, -다 / 2) 짓-, 밟-, -히-, -었-, -다 1)은 '뜨다'라는 의미에 '위로'라는 의미를 가지는 '치-', 그리고 문법적 기능을 하는 어미 '-다'가 결하보디어 있는 단어입니다. 여기서 실질 의미를 나타내는 어근은 '뜨-'이며 그 뜻을 덧보태는 주변 부분인 '치-'와 '-다'는 각각 접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다'의 경우 어미로 볼 수 있지만 활용을 하는 접사라는 의미로 .. 2023. 12. 11.
한국어 문법, 형태소와 단어 1. 형태소 '형태소'는 형태론의 기본 단위로서 '최소 유의미 단위'를 말합니다. '학교에 간다'에서 '학교'는 실질적 의미를 갖고 있는 '명사'이며, '에'는 문장 내에서 '학교'가 부사어임을 나타내 주는 문법적 의미를 갖는 '조사'입니다. 또한 '가-'는 생략된 주어의 동장을 나타내 주는 '동사 어간'이며, '-ㄴ다'는 문장을 현재형으로 종결시킨다는 문법적 의미를 갖는 '종결 어미'입니다. 한편, '풋사과'는 '덜 익은'이라는 의미를 갖는 접두사 '풋-'과 체언 어근 '사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은 단어들의 단위들은 다시 음절 단위로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사과'를 '사', '과'처럼 음절 단위로도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분석은 '사과'라는 의미를 유지할 수 없게 하.. 2023. 12.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