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어 음운 변동, 구개음화, 모음 동화, 모음조화

by 팍샘 2023. 12. 10.
반응형

1.  구개음화

구개음화란 치조음인 'ㄷ, ㅌ'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 앞에서 각각 경구개음인 [ㅈ]과 [ㅊ]으로 바뀌는 현상입니다. 구개음화에서 피동화주인 자음은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과 같은 실질 형태소의 끝소리이고, 동화주인 'ㅣ'나 '반모음 ㅣ'는 그 뒤에 결합하는 형식 형태소의 첫 모음입니다. 즉, 구개음화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가 만나는 자리에서 일어나는 역행 동화인 셈입니다. 이러한 조건이 지켜지지 않으면 같은 환경이라도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 부텨> 부처,  텬디>천지,   둏다>좋다,  디다>지다

위와 같은 변화는 우리말의 역사로 볼 때 근대 국어 시기에 광범위하게 일어났는데, 'ㅣ'와 '반모음 ㅣ' 앞의 'ㄷ, ㅌ'이 각각 'ㅈ, ㅊ'으로 바뀌었다는 점에서 지금의 구개음화와 같지만 둘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즉, 현대 국어의 구개음화가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가 결합할 때에만 이러나는 데 반해, 근대국어 시기의 구개음화는 그러한 제약이 없이 'ㅣ'나 '반모음 ㅣ' 앞에 놓인 모든 'ㄷ, ㅌ' 이  'ㅈ, ㅊ'으로 바뀌었다는 것입니다. 그 결과 '부텨'는 '부쳐'를 거쳐 '부처'로, '둏다'는 '죻다'를 거쳐 '좋다'로 바뀌는 등 단어의 형태 자체가 구개음화를 겪은 상태로 굳어졌다. 역사적인 구개음화가 일어났던 시기에는 구개음화의 적용을 받을 조건을 갖추고 있지 않았을 것이라는 가정이 가능하다. 

 

2. 모음 동화

모음과 모음 사이에도 음운 동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한국어의 'ㅣ모음 역행동화'가 그것입니다. '먹이다'를 [메기다]로, '지팡이'를 [지팽이]로 발음하는 것이 그 예입니다. 앞 음절의 후설모음 'ㅏ, ㅓ, ㅗ, ㅜ, ㅡ'가 각각 전설모음 'ㅐ, ㅔ, ㅚ, ㅟ, ㅣ'로 바뀌어 발음되는데, 이는 뒤 음절 'ㅣ'모음의 전설성에 이끌려 동화된 결과입니다. 이 때 변동의 대상이 되는 것은 '혀의 최고점의 전후 위치'이고 다른 성질 즉, 혀의 높낮이나 입술 모양 등은 원래 대로 유지됩니다.  그리고 ㅇ동화주인 'ㅣ'와 피동화주인 후설 모음 사이에는 입술소리(양순음)나 여린입천장소리(연구개음)가 끼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음운 교체 현상으로서의 'ㅣ모음 역행 동화'가 가진 특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그 밖의 위치에서 발음되는 자음인 잇몸소리(치조음)나 센입천장소리(경구개음)가 동화주와 피동화주 사이에 끼이면 이 변동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ㅣ모음 역행동화'는 비교적 널리 퍼져 있는 음운 변동이긴 하지만 방언이나 세대, 심지어 개인의 발음 습관에 따라 나타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합니다. 앞의 자음 동화가 모든 사람의 발음에 항상 나타난다는 점과는 다른 것입니다. 그래서 지금의 표준어 규전 제9항에서는 'ㅣ모음 역행 동화'에 의한 발음을 표준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단어에 따라서는 이 동화에 의한 발음이 보편화된 결과 아예 형태 자체가 바뀐 경우가 있는데 지금의 표준어 규정에서는 이들 중 일부에 대해 'ㅣ 모음 역행 동화'에 의한 발음형을 표준어로 정해 놓았습니다. '서울내기, 시골내기, 신출내기, 풋내기' 등과 '멋쟁이, 소금쟁이, 담쟁이덩굴, 골목쟁이, 발목쟁이' 등과 같이 '기술자' 혹은 '장인'의 뜻을 담고 있지 않은 '-쟁이'와 '냄비, 동댕이치다'와 같은 단어들이 그것입니다.

 

3. 모음 조화

한국어의 모음들은 앞에서 살펴 보았던 음성학적 기준에 따라 몇 무리로 나뉩니다.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서는 전설모음과 후설모음으로 나뉘고, 혀의 높낮이에 따라서는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이 각각 무리를 이루며, 입술 모양에 따라서는 원순 모음과 평순 모음으로 나뉩니다. 그런데 의성어와 의태어에 나타나는 모음의 연결 양상을 보면 우리말의 모음이 또 다른 어떤 기준에 의해 두 무리로 나뉨을 알 수 있습니다. 흔히 '작은말/큰말'로 구분하는 이 두 부류의 어감 차이는 모음 무리 'ㅐ, ㅚ, ㅏ, ㅗ'와 'ㅣ, ㅔ, ㅟ, ㅡ, ㅓ, ㅜ'의 대립에 따라 생겨나는데, 이 모음의 무리들을 각각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으로 부릅니다. 한국말에서 이와 같은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의 대립은 용언의 어간과 어미 사이의 결합에서도 나타납니다. 

이는 어간 모음이 'ㅏ, ㅗ'일 때에는 '아'형 어미가 결합하고 그밖의 모음일 때에는 '어'형 어미가 결합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의성어, 의태어 내부의 모음 연결 양상 및 용언의 어간과 어미가 결합할 때 나타나는 모음 연결의 양상을 통해, 우리 말의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연결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일정한 언어 단위 안에서 같은 성질을 가진 모음끼리 어울리려는 경향을 '모음 조화'라고 합니다.         

                           

출처. 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 임지룡(2005, 박이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