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74

한국어의 특질에 대해, 음운, 어휘, 문법을 중심으로 1. 음운적 특질 국어의 자음은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의 삼중체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것은 영어의 /k,g/, /t,d/, /p,b/의 이중 체계와 대조되는 특징이다. 국어에서 '불-뿔-풀'의 쌍 각각이 변별되는 것은 자음의 삼중 체계에 의한 것입니다. 국어에는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이 많지 않습니다. 한국어의 마찰음에는 /ㅅ,ㅆ,ㅎ/의 세 가지가 있는데 국어의 마찰음 수는 파열음 수보다 적은 것에 반해 영어를 비롯한 인구어는 그 반대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편, 국어는 첫소리의 자음에 제약이 있습니다. 영어의 경우 'tree'나 'strike'와 같이 첫소리에 둘 이상의 자음이 올 수 있지만, 국어에서는 첫소리에 둘 이상의 자음이 올 수 없으므로 이들을 풀어서 '트리'나 '스트라이크'로 .. 2023. 12. 1.
한국어 현대 문법 이론, 언어에 대하여 1. 언어의 본질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본질적으로 기호를 통해 보여집니다. 이 기호는 형식과 내용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호작용을 통해 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 경우 기호의 형식은 음성이나 몸짓, 문자 등이고, 기호의 내용은 형식 안에 담긴 의미로서 심리적이고 추상적인 속성을 지닙니다. 기호로서 언어가 갖는 특성에는 자의성, 사회성, 역사성, 분절성, 추상성 등이 있습니다. 먼저 자의성은 기호의 형식과 내용 간에 필연성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의적 기호는 형식을 통해 내용을 유추할 수 없고 내용을 통해 형식을 유추할 수도 없는데 이러한 관계는 사회적 관습에 따라 규정됩니다. 한국에서 '집'이라고 부르는 것을 영어에서는 '하우스(house)' 라고 부르는 것이 그 예에 해당하며 관습화 되어.. 2023. 11.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