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70

학부모 총회-학부모 상담-뽕 뽑기! 꿀팁! 학부모 총회 시즌이다. 인스타그램을 보면, 학부모 총회 드레스북이 알고리즘에 뜰 정도로 학부모라면 학부모 총회가 부담스러울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사실... 지역적 특성도 있긴 하겠지만... 교사로서 학부모님을 볼 때... 그 날의 드레스 코드나, 어떤 머리 모양을 하고 있는지는 사실 교사로서 아무 기억이 나지 않는다. 그냥, 학교 운영위원회나 행사에 참여하고자 하는 분은 총회에 대표로 참여하면 되는 것이고.. 상담 주간에는 담임선생님에게 무엇을 물어보고 알야가야 할 지를 생각해 보고 가는 것이 더 적절할 것 같다. 학부모 총회와 상담 주간의 방문 목표는 무엇일까? 우리 아이의 학교 생활 파악 및 우리 아이의 담임은 어떤 사람인가...하는 파악 정도가 될 것 같다. 이것이 끝이다. 사실... 선생님들도.. 2024. 3. 26.
약술형 논술로 대학가기 - 고려대 세종 고대 세종 논술 전형 요약 고려대 세종 캠퍼스 수시전형 [논술(일반전형)] 전형은 최저 합을 맞춰야 합니다. 작년 2024학년도 기준, 국,수,영,탐(상위1과목) 중, 2개 합 6 이내입니다. "교과 통합형 논술"로 인문계는 국어, 사회, 도덕 등과 관련된 [국어] 과목형 문제만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사탐 과목과 관련된 문제가 나오지만 사회 문제라기 보다는 비문학 독해처럼 푸는 문제라고 판단됩니다. 즉 가천대 논술과 달리, 수학 문제는 제외되어 수학에 자신이 없는 학생들에게 추천할만 합니다. 반면, 자연계(약학과 제외)는 수학, 수1, 수2, 미적분이 시험 범위입니다. 약학과는 수학, 수1, 수2, 확률과통계, 미적분, 기하 까지 범위입니다. 올해는 학생부 30%가 사라졌지만, 기존 합격 점수대를 살펴.. 2024. 3. 24.
2025[ 수능특강 ] 2강 시의내용-백구야, 백초를, 개를 여남은이나 1. 고전시가는 "다~어디서 본 것 같은..느낌적 느낌." 고전 시가를 보면서 어디서 본 것 같은 느낌이 들은 적 있을 것 같다. 이유는 옛 사람들은 '좋은 글'이나 '글귀'를 보면, 반드시 따라서 '오마쥬~'하고 싶어했기 때문인 것. 그 대표가 바로 '정철'의 . 에 등장하는 '고사 인용'부분이나, 이러한 과 유사한 느낌이 드는 등을 보았을 때, "어? 어디서 봤는데?"하는 느낌이 들었을 것이다. 때문에 이러한 '고전시가'들은 * 자연 좋다! 혹은 *임금이 좋다! 로 나뉘거나, 정말 사랑하는 '정인'을 기다리거나 그리워한다는 내용 등으로 간단히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2. 자연 좋다! - 도교 '자연 좋다!'라고 하는 일면 '도교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시가들은 다음과 같은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다... 2024. 3. 17.
2025 수특 문학 - P.009 [추일서정] 해석의 팁! 처음 보는 시를 해석하기 전에 가장 먼저 봐야 할 부분은, 1. 시인 2. 시 제목 #김광균 이라는 시인과 #추일서정 이라는 시 제목을 통해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김광균 이라는 시인이 생소하다면, 제목을 통해 시의 전체적인 내용이나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다. #추일서정 이라는 제목에서 '서정'은 일반적인 '서정시'의 느낌으로 해석을 하면 되니, 앞 부분 '추일' 즉, '가을 날'이 핵심 힌트가 될 것이다. '가을'의 일반적인 해석 '가을'은 일반적으로 1) 수확, 풍요 의 의미와 2) 쓸쓸함, 소멸 등의 의미로 해석의 맥이 갈린다. 여기서 #김광균 이 일제강점기 때 시인이라는 '배경 지식' 이 있다면, 2)번 #쓸슬함 #적막함 #소멸 의 맥으로 해석해야 함을 시를 읽기 전에 미리 염두하여 해.. 2024. 3. 11.
약술형 논술로 대학가기- 가천대편 대학을 가는 전형은 정말 여러가지 입니다. 그 중에, 내신 성적 반영이 적고 어느 정도 국어, 수학 능력이 있는 학생이라면 '약술형 논술'을 노려볼만 합니다. 논술 전형에 대한 전체적인 틀을 잡고 싶으신 분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https://hi-ssam.tistory.com/entry/%EB%8C%80%EC%9E%85-%EB%85%BC%EC%88%A0-%EC%A0%84%ED%98%95%EC%9C%BC%EB%A1%9C-%EB%8C%80%ED%95%99%EA%B0%80%EA%B8%B0 대입 논술 전형으로 대학가기! 2학년 종업식이 끝나고 "나는 과연 대학에 갈 수 있을까?", "내 내신으로 어느 대학에 갈 수 있을까?" 등의 고민이 많을 겁니다. 그리고 이러한 고민의 끝에는 '.. 2024. 2. 29.
고1 신입생 - 슬기로운 학교생활 꿀팁 드디어 고1 입학식을 코 앞에 두게 되었습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완전히 다르다고 몇몇의 포스팅에서 언급했었습니다. 그럼 뭐가 그렇게 다를까요? 1. 공부 양과 질 공부 양과 질이 중학교 때와 확연히 달라집니다. 중학교 때 꾸준히 엉덩이 힘을 길러 놓지 못한 학생들을 고등학교에 와서 5분 늘어난 수업시간, 그리고 복습해야 할 수업 내용 등에 치일 수밖에 없습니다. 수업에 집중하고 그날 그날의 내용을 꼭 확실히 잡아 나가야 남들보다 좋은 스타트를 끊을 수 있습니다. -> 반드시 학습 플래너나 다이어리 등을 이용해서 메모하고 학업 계획을 관리합시다. 2. 교내 활동 교내 활동이 너무나도 중요해집니다. 인문계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대입을 준비한다면, 교내 활동 (대회 명칭 기록이 금지되어 활동 이름으로 진행될.. 2024. 2.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