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한국어문법17

한국어 단어의 형성, 합성어와 파생어 1. 단어의 구성과 유형 일반적으로 단어는 형태소가 결합된 단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먼저, 단어는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 부분인 '어근'과 그에 붙어 그 뜻을 한정하는 주변 부분인 '접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뜻을 한정한다'라는 의미는 간단히 뜻을 더해 준다로 해석하면 됩니다. 1) 치-, 뜨-, -다 / 2) 짓-, 밟-, -히-, -었-, -다 1)은 '뜨다'라는 의미에 '위로'라는 의미를 가지는 '치-', 그리고 문법적 기능을 하는 어미 '-다'가 결하보디어 있는 단어입니다. 여기서 실질 의미를 나타내는 어근은 '뜨-'이며 그 뜻을 덧보태는 주변 부분인 '치-'와 '-다'는 각각 접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다'의 경우 어미로 볼 수 있지만 활용을 하는 접사라는 의미로 .. 2023. 12. 11.
한국어 문법, 형태소와 단어 1. 형태소 '형태소'는 형태론의 기본 단위로서 '최소 유의미 단위'를 말합니다. '학교에 간다'에서 '학교'는 실질적 의미를 갖고 있는 '명사'이며, '에'는 문장 내에서 '학교'가 부사어임을 나타내 주는 문법적 의미를 갖는 '조사'입니다. 또한 '가-'는 생략된 주어의 동장을 나타내 주는 '동사 어간'이며, '-ㄴ다'는 문장을 현재형으로 종결시킨다는 문법적 의미를 갖는 '종결 어미'입니다. 한편, '풋사과'는 '덜 익은'이라는 의미를 갖는 접두사 '풋-'과 체언 어근 '사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은 단어들의 단위들은 다시 음절 단위로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사과'를 '사', '과'처럼 음절 단위로도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분석은 '사과'라는 의미를 유지할 수 없게 하.. 2023. 12. 10.
한국어 음운 변동, 구개음화, 모음 동화, 모음조화 1. 구개음화 구개음화란 치조음인 'ㄷ, ㅌ'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 앞에서 각각 경구개음인 [ㅈ]과 [ㅊ]으로 바뀌는 현상입니다. 구개음화에서 피동화주인 자음은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과 같은 실질 형태소의 끝소리이고, 동화주인 'ㅣ'나 '반모음 ㅣ'는 그 뒤에 결합하는 형식 형태소의 첫 모음입니다. 즉, 구개음화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가 만나는 자리에서 일어나는 역행 동화인 셈입니다. 이러한 조건이 지켜지지 않으면 같은 환경이라도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 부텨> 부처, 텬디>천지, 둏다>좋다, 디다>지다 위와 같은 변화는 우리말의 역사로 볼 때 근대 국어 시기에 광범위하게 일어났는데, 'ㅣ'와 '반모음 ㅣ' 앞의 'ㄷ, ㅌ'이 각각 'ㅈ, ㅊ'으로 바뀌었다는 점에서 지금의 구개음화와.. 2023. 12. 10.
한국어의 음운, 음운의 변동 1. 음운의 변동 말소리의 소리값은 음성 환경에 따라 바뀔 수 있습니다. 음운 변동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이를 분류하는 방법에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변동의 결과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분절음 차원의 변동 양상에 따라 교체, 탈락, 첨가, 축약으로 나누거나, 변동이 일어나는 음운론적 동기에 따라 동화와 이화로 나누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인 음운 변동의 분류 방법입니다. 먼저 '교체'는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교체, 바뀌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탈락'은 원래 있넌 한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첨가'는 없던 음운이 추가되는 것이고, '동화'는 한 소리의 소리값이 그 놓이는 음성 환경과 같아지는 쪽으로 바뀌는 것을 말하는데, 대개 인접음의 조음 위치나 조음 방법을 닮거나 같.. 2023. 12.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