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1 3.7등급~4등급- 어느 대학 써야 할까? 학부모 상담을 하다보면, '인서울'은 몇 등급까지 가능한가요? 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그냥. 일반적인 개념으로는 3등급까지라고 말씀드린다. 인서울 마지노선으로는 한성대, 삼육대, 가천대, 서경대를 잡는데 ... - 한성대, 서경대는. 과가 묶여 있어서 반드시 지원 전에 학부/학과 소개를 확인하고 지원해야 한다. -가천대는 인기가 많아도 너무 많다.-삼육대는.. 과가..전문대도 아닌 것이 전문대처럼 취업과 관련된 과가 많다. 게다가..교과전형. 2합7도 만만치 않다. 그리고, 교과로 이 학교들을 3.7~4등급 아이들이 지원하기엔. 너무나도 상향 지원이다. 그럼 이 학교는 어떠세요? 하고 몇 학교만 추천해 본다.이 내용은 참고로 하고! 결정은 본인이 하길 바란다.! 신중신중하게!1. 가천대가.. 2024. 9. 10. 2025 신설 전형-상명대 약술형 논술 전형 - 예상문제풀이 2025대비, 상명대학교 수시 논술 전형이 새로 생겼습니다. 특히 '약술형'이라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약술형 논술을 실시하는 대학들은 몇몇이 있는데, 예전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가천대, 수원대, 고대 세종캠퍼스 정도가 대표적인 학교로 꼽을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천대'의 경우 교과로 2등급 중반부터 3등급 초까지 성적의 학생들이 등록한다고 했을 때, 그 이하 등급의 내신을 가진 학생들이 한방을 노려볼 만한 학교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새로 생긴 '상명대 약술형' 논술의 경우, 대략 상명대를, 교과 전형으로 내신 2.5~2.7일 학생들이 학교장 추천 전형으로 추합으로 합격하는 사례들을 보았을 때,그 이하 등급의 내신을 가진 학생들이 노려볼 만한 전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 처음 .. 2024. 7. 8. 이강백 <파수꾼> - 비평 감상문 '이강백'의 은 해설을 읽고 글을 읽을 때부터, '작품 감상의 길잡이'에 갇히게 된다. "은 바로 1970년대의 '체제 유지를 위한 안보 정책'에 대한 통렬한 풍자이다." 이 한 줄의 해석으로 감상 비평의 틀이 잡히게 된다.극의 첫 장면부터 눈에 띄는 것은 '해설자'의 존재이다. 이 '해설자'는 막의 중간에 등장하여 초승달을 걸거나 떼어내고, '운반인'이나 '촌장'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한 인물이 여러 배역으로 등장한다는 점이 매우 매력적이면서도 한 가지 궁금한 점은, "과연 이 '해설자'도 극의 핵심적 비밀인 '이리떼의 존재'에 대해 알고 있었을까."라는 것이다. '그는 내가 태어나기 전부터 파수꾼이었습니다. 나의 늙으신 아버지께서도 어린 시절에 저 유명한 파수꾼의 이야기를 들어셨다 합니다. 물론 할.. 2024. 5. 19. 재미로 보는 비속어 어원 '개는 귀여운데 왜? 욕이지? 1. 새끼 개, 강아지? 가히삿기 정철의 '관동별곡'에 보면 '학 삿기'라는 표현이 나온다. 말 그대로 새끼 학이라는 뜻으로 중세 때 어두자음군 'ㅅㄱ'이 된소리 'ㄲ'으로 변천하는 것을 생각하면 '학 새끼'임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그럼 강아지는? 참 쉽다. '개 삿기'. 중세 시대에는 'ㅔ'와 ㅐ'가 이중모음이었으므로, 그리고 '개'가 15세기에 '가히'였음을 생각하면, 현대 발음 규칙에 의해 발음을 해보면 [가히삳끼]라고 할 수 있겠다. 이는 아마도 중세표기로 하면 "가히삿기". 무언가... [가히삳끼]라고 하니... 조선말 같지 않기도 한데.. 중세 국어의 표현이니까 재미 삼아 알아 둘만도 하다. 2. '개'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검색해보자. '개'를 검색하면, 접두사와 접미사를 모두 포함하고, .. 2024. 4. 14. 이전 1 2 3 4 5 6 ··· 1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