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문대 수시 1차 VS 2차 뭐가 다른가?!

by 팍샘 2025. 9. 21.
반응형

 

 

4년제 수시 지원 접수 기간이 마감되었다. 학교는 지금 공부하는 자. 면접 준비하는 자, 그리고 유투브 보는자, 또 그리고...그냥 계속 자는 자...들로 가득...

가득 차 있지도 않다. 질병이 있는 자들이 결석을 많이 하니까.

심지어...스카..(스터디카페) 간다고 질병 조퇴한다고 하는  당당한 학생들도 등장했다.

스터디 카페 가면 공부가 더 잘 되나... 수능은 '학교' 환경에서 보는데, 스터디 카페에서 공부가 잘 된 들... 경쟁자들이 옆에 있는..학교만 하겠는가..

뭐...그것은 자신이 선택하고 책일질 일이니..넘어가고...



오늘은 전문대 수시 1차와 2차의 차이. 그리고 어떻게 지원하는 것이 유리할 지에 대해 써 보려고 한다.


1. 전문대 수시 지원 학생의 성적대.

 

유아교육, 간호, 치위생, 치기공 등, 특수한 학과를 제외하면 4등급대 후반~이나 5등급대 초, 중반이 지원하게 될 것이다. (이는 3학년 1학기까지의 전체 성적 평균으로 잡은 것이다.) (인서울 전문대 기준)

단! 전문대 성적 산출은 가장 우수한 '1학기' 성적, 이거나 '두 개 학기 '성적이 대부분이므로, 3년 동안의 5개 학기 중, 1개~2개 학기의 성적이 3이라면, 그리고 그 외 학기의 성적이 9라면, 그냥 그 학생은 3등급으로 전문대 지원을 할 수 있다.

그래도 좀 좋다고 하는 인서울 전문대의 경우 거의가 2개 학기 성적을 반영한다.


2. 1차와 2차의 차이?

전문대 수시 1차는 4년제 일반대와 수시 모집을 동시에 시작해서, 9월 30일까지 마감 시간이 좀 더 길다. 이때 모집 인원이 2차나 정시 모집 인원보다 확연히 많다. 2차 모집은 수시1차 마감과 수능 중간에 있다.

 

올해 전문대 수시 2차 모집은 11월 7일~11월 21일까지. 수능일이 11월 13일이니, 수능을 보고 나서 결정해도 될 것.

1차 수시는 모집인원이 많다는 가장 큰 장점이 있다.

2차 수시는 대부분 1차의 50%정도의 인원이 줄어 든다. 정시? 정시 모집에는 거의 5명 이내로 줄어든다.

때문에 1차 수시 모집때 적정, 안정이던 성적대가 2차 수시 모집으로 보면 상향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만큼  1차때 안 되었던 학생들이 불안감에 2차로 모여들기 때문이다.


3. 어떻게 지원해야 유리할까?

3등급대 후반이라면 2차 수시를 노려도 될 것 같다. 3등급 후반이 가장 애매할 수 있는 성적이라, 생기부가 부족하여 무조건 '교과'로만 써야 한다면, 전문대 2차를 노려봄직도 하다.


단, 1차때 맘 편히 안전하게 하나쯤 걸어 놓고 싶다면. OK.
하지만 정시 성적이 이보다 잘 나올 자신이 있다면 무리수일 수 있다. 왜냐하면 '수시'에 어디든 합격하면 '정시'에 지원할 수 없기 때문이다.
때문에 본인이 생각했을 때 어떻게 해야 아깝지 않을 수 있는지를 잘 판단해야 한다.

4. 마음만 있으면 전문대는 어디든 지원 가능하다.
- 충원률이 매우 높다.
- 예를 들어 간호사 자격이 목표면 전국구 간호학과를 검색해서 서울에서 좀 멀리 가면 된다. 어차피 자격만 얻으면 된다. 6등급도 합격한 것을 보았다. 대신 다시 한 번 말하면 서울에서 멀어지면 된다.
- 같은 방식으로 '물리치료', '보건행정', '치기공', '치위생' 마찬가지이다.
- 하지만 마찬가지로... 인서울만 고집한다면 이는..사실 결과에 자신은 없다.
- 가장 힘든 상담 대상이 '전 서울만 가고 싶어요.'라고 하면서 '전문대도 싫어요' 인데, 거기다 성적대가 4등급 후반이 나오는 경우.그리고 수능은 무조건 보기 싫다고 ...수시로 끝내고 싶다고 하는 경우가...매우매우매우 곤란하다. 그냥 열심히 응원을 해 주는 방법밖에는...

5. 개수 제한이 없다는 이점!

일단 전문대는 몇 개를 쓰는지 개수 제한이 없기 때문에 많은 돈을 쓰면 다~~ 넣을 수 있다. 충원률이 높으니 '상향'을 써도 돌아 돌아서 될 가능성이 있다.
학교 별로 하나의 전형에 하나 학과만 쓸 수 있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학교 별로 한 전형에 2개 학과를 쓸 수 있는 곳도 있으니 반드시 접수 전에 '입학처'에 문의하였으면 좋겠다.
정말 정말 학교별로 모두 각각!이 다르다.

 

이제까지의 글은, 특수 학과(간호나 유아교육, 치위생학과 등)를 제외한 일반적인 학과의 경우를 정리해 본 것이다. 특수학과의 경우 주로 '자격증'이 나오는데 이 때문에 성적대가 매우 높다. 꼭 참고했으면 좋겠다.

+ 전문대에 진학한 학생들의 말에 의하면, 잘 적응해서 '취업'을 하거나, 바로 공무원 시험 준비를 하거나, 또는 '편입' 준비를 하는 친구들로 나뉜다고 한다.
아직 20대 초반이니 앞날이 창창하다. 기회를 잡고 만들고 도전했으면 좋겠다.

응원합니다. by. 팍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