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법 개론

재미로 보는 비속어 어원 '개는 귀여운데 왜? 욕이지?

by 팍샘 2024. 4. 14.
반응형

1. 새끼 개, 강아지? 가히삿기

정철의 '관동별곡'에 보면 '학 삿기'라는 표현이 나온다. 말 그대로 새끼 학이라는 뜻으로 중세 때 어두자음군 'ㅅㄱ'이 된소리 'ㄲ'으로 변천하는 것을 생각하면 '학 새끼'임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그럼 강아지는? 참 쉽다. '개 삿기'.

중세 시대에는 'ㅔ'와 ㅐ'가 이중모음이었으므로, 그리고 '개'가 15세기에 '가히'였음을 생각하면,

현대 발음 규칙에 의해 발음을 해보면 [가히삳끼]라고 할 수 있겠다. 이는 아마도 중세표기로 하면 "가히삿기".

 

무언가... [가히삳끼]라고 하니... 조선말 같지 않기도 한데.. 중세 국어의 표현이니까 재미 삼아 알아 둘만도 하다.

 

2. '개'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검색해보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검색어 '개'

 

'개'를 검색하면, 접두사와 접미사를 모두 포함하고, 동음이의어들을 살펴보면 모두 10개 이상의 단어가 보여진다. 우리가 알고 있는 귀염둥이 포유류는 개3 으로 설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한 가지. 9번 개-9, 접두사 '개-'가 어원이 멍멍이 '개'가 아니라는 점을 짚고 가고 싶다.

'개-살구'의 '개-'는 야생의 뜻 혹은 질이 떨어지는 의미를 더해주는 접두사로 야생의 살구를 '개-살구'라고 함을 알 수 있다. 즉, 멍멍이 살구가 아니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새끼개?!'는 사전에 어떻게 나올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말 그대로 '욕'이라고 되어 있다. 이에 대해 <우리말 비어, 속어, 욕설의 어원 연구>, 조항범, 충북대학교 출판부, p. 425를 참고하면 아래와 같이 서술하고 있다.

- '개'라는 지시물이 갖는 속성으로쿠터 굳어진 관습적 견해와 관련이 있다. '개'는 발정기가 되면 아무데서나 교미하는 천박한 습성이 있어 이를 통해 '천박함', '상스러움'이라는 관습적 견해가 생겨날 수 있다. / 아마도 위으 '개새끼'는 '개 같은 새끼'라는 구 형식의 욕에서 줄어든 것이 아닌가 한다. '개 같은 새끼'보다 더 심한 욕이 '개만도 못한 새끼' 등이 있다. 

 

위의 설명에 의하면 '관습적 견해'에 의해서 '개'와 관련된 욕이 형성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 사실..개만도 못한 사람이 많은 요즘, 이러한 비속어 '욕설'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맞다.

다만, 

채만식의 소설이나 고전 소설 등에서 이러한 비속어를 사용하여 인물의 성격이나 됨됨이, 토속성 부각 등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니, 문학을 이해함에 있어서는 거부감 없이 해석했으면 좋겠다.

 

by. 팍샘

반응형